바로가기 메뉴
본문내용 바로가기
하단내용 바로가기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고황의학학술사업단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사이트 내 검색


진료

소화기내과

진료 > 진료안내 > 소화기내과

소화기질환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질환으로써 위염, 궤양, 위암, 염증성 장질환, 간염(B형, C형, A형등), 간암, 알콜성 간질환, 담석증, 췌장염, 췌장암등 이루 헤아릴수 없이 많으며, 생활양식의 변화로 이들 질환의 빈도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소화기내과는 6명의 전문 교수와 1명의 전임의, 7명의 전공의가 팀을 이루어 진료, 연구활동 및 토의를 하며, 학회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또한 위암, 간암, 대장암등 소화기암의 조기 진단 및 치료에 주력하고 있으며 각 질환의 치료에 있어, 외과 및 방사선과와의 원활한 접촉을 통하여, 수술적 요법이나 치료적 방사선 중재술 등을 적절히 적용하여 신속하게 진행시켜 최선의 결과를 얻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

또한 대량의 상부 위장관 출혈(궤양성 출혈, 정맥류 출혈등)과 같은 응급상황에서도 신속히 환자의 생체징후를 안정시키고, 경험이 많은 원숙한 내시경전문의에 의해 24시간 어느 때라도 응급 내시경하 지혈술을 시행하여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다.

위암, 위궤양(위암, 위궤양클리닉) - 담당교수: 장린, 장영운
위암의 조기발견 및 치료에 중점을 두고 있다. 진행된 위암의 경우도 위내시경 검사 및 조직검사로 진단한후 컴퓨터 단층촬영등의 검사로 병기를 정하여 외과 및 종양내과와의 협진을 통해 빠른 시간내에 치료를 시작하여 좋은 성적을 얻고 있다. 또한 조기위암의 경우에는 외과적 수술이 아닌 내시경적 점막절제술로 이를 제거하고 있다. 그리고 위궤양과 십이지장궤양 및 위염 치료에 있어 헬리코박터 균의 검사를 내시경 검사와 동시에 시행하고 있다.검사결과에 따라 균을 박멸하는 3제 요법을 통해 난치성 및 재발성 궤양의 치료에 진일보를 이루고 있다.
간암(간암클리닉) - 담당교수: 김병호
간암의 치료에 있어서 초음파나 CT 유도하에 ethanol이나 hot saline등을 종양내로 직접주입하는 방법 및 혈관을 통해 간종양내로 직접 항암제를 투여한후 종양혈관을 폐쇄시키는 간동맥 색전술을 시행하고 있다. 이런 방법을 경과에 따라 2-6개월 간격으로 반복하며, 수술 대상이 되지않는 환자에서도 좋은 결과를 얻고 있다. 또한 수일간의 짧은 입원기간내에 치료가 완료되므로, 환자들의 호응도 좋다. 추후 홀미윰을 이용한 치료나 microwave coagulation 치료 등을 도입할 예정이다.
간염, 간경화증(간염, 간경화클리닉) - 담당교수: 김병호
우리나라는 특히 B형 간염의 유병률이 높아, 본 크리닉에서도 활발한 진료 및 연구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혈청 항원, 항체 검사나 간조직 검사를 통해 간염의 병기를 정한 후에, 대상이 되는 환자에서 인터페론등의 요법을 시행하고 있다. 간염은 장기적으로 치료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주치의와의 각별한 관계가 유지되고 있으며, 자세한 설명을 들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간경화 환자에서 발생하는 복수, 식도 정맥류 출혈, 간성 뇌증등의 반복되는 합병증의 처치 및 예방도 시행된다. 또한 알콜성 간질환의 진행 억제 및 치료도 이루어지고 있다.
크론병(크론병클리닉) - 담당교수: 김효종
크론병 및 궤양성 대장염은 최근 환자수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젊은 환자가 많고, 대장내시경 및 조직검사를 통해 진단한후 지속적인 약물 치료로 대장염을 치료하고 있으며, 대상이 되는 환자들은 외과와 상의하여 수술적 요법도 시행하고 있다. 궤양성 대장염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며 감별이 어려운 크론병이나 장결핵환자도 치료하고 있다. 기타 허혈성 장염, 아메바성 장염등 대장염 전반에 대한 진단 및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대장암의 경우도 외과, 종양내과와 협력하여 치료하고 있으며, 가족성 대장암이나 용종의 증례도 발견하고 가족내 유전자 양상을 보고하기도 했다.
췌담도질환(췌담도클리닉) - 담당교수: 동석호
담도의 결석이나 담도암, 담도염 환자에 있어서 역행성 조영술을 통한 유두부 절개술, 스텐트 삽입등의 배액술등을 통해 진단과 함께 치료가 이루어 질수 있도록 하여 가능한한 수술적 요법을 피하고 입원기간 및 합병증 발생을 줄이고 있다. 또한 방사선과에서 투시경하에 배액술을 시행하거나 결석을 제거하는 등 다방면의 치료가 시도되기도 한다. 반복되는 난치성 췌장염이나 합병증으로 인한 낭종발생의 경우에는 오크레오타이드 호르몬제를 투여하기도 한다.
내시경센터 (☎ 958-8149, 8150)
일반내시경 (위, 직장, 대장, 췌담관)
내시경실은 내과 외래 옆에 위치하고 있으며, 매일 내시경전문 교수가 검사를 시행하고 있으며 오전에는 주로 위내시경 및 직장내시경을, 오후에는 대장 내시경과 역행성 췌담관 조영술(ERCP)을 시행한다
수면내시경 (위, 대장)
환자가 수면 상태에서 검사를 시행하기 때문에 내시경 검사시 통증을 느끼지 않는 장점 때문에 근래 환자들에 의해서 선호되고있다. 수면내시경 검사시 정맥주사로 쓰이는 midazolam은 그 약효가 매우 빠르고 작용시간이 짧으며, 심장 및 호흡에 영향이 매우 적은 안전한 약제이다. 검사중 호흡상태 및 심장상태를 감시 할 수 있는 pulse oximetry를 사용하여 안전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치료내시경 - 수술하지 않고 내시경으로 치료 가능

식도,위십이지장, 대장, 췌담도의 각종 질환에 대하여 최근 그 시술이 다양해지고 안전성 및 치료 성적이 매우 우수한 결과를 얻고 있다. 본원 내시경실에서 시행하는 치료내시경에는 다음과 같다.

  • • EVL(내시경적 식도정맥류 결찰술)과 EIS: 간경화 환자의 식도정맥류 출혈을 band ligation이나 ethanolamine의 직접 주사로 치료 및 예방한다.
  • • Polypectomy(용종제거술): 위 및 대장의 용종을 전기응고술로 제거한다.
  • • ENBD(내시경적 비위담도 배액술): 담도결석, 종양 및 담도염 환자에서 일시적으로 도관을 유치하여 배액을 유지한다.
  • • Biliary stent insertion: 근치가 불가능한 진행된 담도종양의 경우 장시간 담즙배액을 유지하여 염증이나 황달없이 일상생활을 영위하게 한다. 기타 유두부 절개술바스켓을 이용한 비수술적 시술로 담석을 제거한다.
  • • Bougienation: 식도 또는 유문부의 협착(양잿물이나 염산등의 음독후)을 다양한 굵기의 bougie로 2,3일간 반복하여 확장시킨다. 기타 위장관 출혈에 있어서 에피네프린 주입, 전기응고술 등으로 좋은 성적을 얻고 있다.
  • • PEG(경피적 내시경하 위루술): 계속적으로 L-tube를 삽입하고 있어야 하는 뇌혈관 질환 등에서 보다 용이하게 feeding을 할 수 있으며, 관리도 쉽게 해준다.
  • • PTCS(경피적 담낭 내시경): 수술의 대상이 되지않는 담낭 결석 환자에서 경피적으로 누공을 만든후 내시경을 삽입하고 결석을 제거한다.

본 교실은 매년 국내 학술대회에서 활발한 발표 및 기고를 하고 있으며, 외국 심포지움에도 참가하여 최신 지견을 습득하고 있다. 또한 소화기 종양의 여러 발생 요인에 관해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하고 있으며, 간염의 다양한 치료 및 간종양의 치료에 많은 노우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위로 이동